부팅 USB로 노트북을 포맷하는 방법만 알면 윈도우 10 설치가 용이합니다.

모이모이의 IT 스토리 운영에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 중 포스팅 발급은 모두 모이모이 옥상 작업실에 있는 데스크톱에서 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스마트 기기가 그렇듯이 오래 사용하면 조금씩 느려지거나 오류가 납니다.

저같은 경우는 주로 원격으로 접속해서 발급하다 보니 오류가 발생하면 아무래도 작업이 어렵습니다. 이때는 노트북이나 컴퓨터 포맷하는 법을 알아두고 윈도우 10 설치를 다시 하는 것이 가장 깨끗합니다.

Windows 10 이후에 초기화하면, 설치 후 처음과 같은 상태를 작성할 수 있게 됩니다. 그러나 어디까지나 비슷한 상태이며 똑같지는 않습니다. 일부 파일을 비롯해 우리가 모르는 각종 데이터가 남아 있습니다.

이때는 클린인스톨을 해야 윈도우10의 완전한 초기상태가 됩니다. 이때 알아야 할 것은 컴퓨터나 노트북 포맷입니다.

얼마 전 마이크로소프트 홈페이지에서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부팅 USB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 소개했습니다. 그 내용은 이전 게시물을 참고해서 만들어주세요.

OS를 새로 설치하기 전에 각종 문서나 중요한 데이터 파일, 사진이나 동영상 등은 외장하드나 메모리 또는 다른 드라이브 등에 안전하게 백업해야 합니다.BIOS에서 부팅 순서 변경

먼저 부트 미디어를 데스크톱 또는 노트북의 USB 단자에 꽂습니다.

다음 전원을 켜거나 재부팅하여 바이오스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바이오스는 하드웨어와 OS 중간에 있는 소프트웨어라고 보시면 됩니다.

메인보드의 종류에 따라 바이오스로 들어가는 방법이 다르지만 대부분 Del 또는 F2, Esc 키를 누르기만 하면 됩니다. 기가바이트로는 F2입니다. ASUS 메인보드에서는 F2 또는 Del 중 하나를 누르십시오.

처음에 전원을 켜고 로고가 보이는 화면을 주의 깊게 보시면 하단에 작은 글씨로 나오니 잘 봐주세요. 주변 사람들에게 노트북 포맷 방법에 대해서 설명을 해 보면 많은 분들이 이 과정을 어려워하시는데 이 부분만 잘 보시면 쉽게 하실 수 있습니다.

최근에 출시된 마더보드는 마우스가 이용할 수 있어 편합니다. ASUS의 BIOS 초기화면에는 오른쪽 하단에 부팅 우선순위가 표시됩니다.

방금 삽입한 USB 메모리를 마우스로 클릭하여 위로 드래그하여 첫 번째 위치에 놓습니다.

변경 후에는 항상 저장 및 종료 또는 외출 등을 해야 합니다. 이때 잘못 나오면 지정한 세팅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최신 제품이지만 기가바이트에서는 마우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이때는 오른쪽 하단의 조작 방법을 참고해 주세요. 간단한 영어단어로 되어있어서 이동과 메뉴 고르는 방법만 확인하시면 됩니다.

화살표와 +/-만 이용하면 대부분 설정이 변경됩니다.

오른쪽 화살표를 눌러 BOOT 항목으로 이동합니다. 그런 다음 BOOT 항목에서 미디어를 선택하고 순서를 변경합니다.

해당 메뉴는 Bootsequence, Order, Priority 등으로 각각 다르게 표기되므로 유사 항목을 찾으시면 됩니다.

엔터를 눌러 표시되는 팝업 메뉴에서 원하는 항목을 선택합니다. 그런 다음 +나 – 또는 페이지 업, 다운을 눌러 순서를 1번으로 이동시킵니다.

이전과 같이 EXIT 항목에서 변경 내용을 저장한 후 “출행”에서 YES를 클릭합니다.파티션까지 모두 삭제하다

잠시만 기다리시면 시작 화면이 보입니다. 여기서 언어, 시간 및 통화 형식, 키보드 또는 입력 방법, 종류 등을 지정하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기존 라이센스가 홈, 프로 또는 32, 64비트인지 확인하고 클릭합니다.

유형은 업그레이드가 아닌 사용자 지정을 클릭합니다.

이제 제 PC 하드디스크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볼 수 있습니다. 제조사에서 복구 구역을 나누어 놓은 경우는 Recovery 등으로 표기됩니다. 이외에도 SYSTEM 등 여러 영역이 보이는데 완전히 삭제하시거나 윈도우라고 표기된 드라이브만 진행하셔도 됩니다.

복구 영역까지 삭제할지 여부는 사용자의 선택이지만 스토리지 용량을 활용하려면 모든 드라이브를 삭제합니다.

복구 항목을 포함하여 총 5개로 구분되어 있으며, 하나씩 삭제를 눌러 모든 파티션을 하나로 통합했습니다. 이 작업을 완료하면 모든 데이터가 삭제되고 복원할 수 없습니다. 꼭 백업 후 진행하셔야 합니다.

모든 드라이브를 통합하면 업데이트합니다. 크기는 전체 용량을 입력하거나 필요에 따라 적절히 나누기만 하면 됩니다. 용량이 크지 않으면 전체를 고르는 게 공간관리 면에서 편하고 1TB 정도면 50%만 지정하고 나머지 공간은 데이터용으로 이용하셔도 됩니다.

컴퓨터의 포맷 방법 중 지금까지의 모든 것은 준비 프로세스였습니다. 이제 포맷을 클릭하여 Windows 10 설치가 시작되고 파일 복사, 기본 설정 등을 진행합니다.

앞으로의 프로세스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제공하는 가이드를 따르더라도 누구나 쉽게 할 수 있습니다. 몇 번의 리부트나 네트워크 접속, MS 계정 추가 등을 실시하면 PC가 완전히 깨끗한 상태가 됩니다.

지금까지 노트북과 컴퓨터의 포맷 방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 그래픽 드라이버나 사무실 등 필요한 프로그램을 하나씩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기만 하면 됩니다. 사용하시는 PC에 오류가 생기거나 느려져 답답하게 느껴진다면 오늘 포스팅을 참고하셔서 천천히 따라해보세요.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