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결견(유착성관절낭염) 정의
– 일반 환자는 오십견이라고 부른다.- 동결견이라는 방사선 소견은 정상이나 견관절에 동통성 운동 제한을 보이는 환자에게 처음 사용한다.- 이러한 상태가 관절조영술상 어깨관절의 전체 용적 감소를 나타내는 관절낭 유착에 기인한다 하여 “유착성관절낭염”이라 명명. – Frozens Shoulder(동결어깨) = Adhesive capsulitis(유착성관절낭염) 오십견의 특징
– 일반 환자는 오십견이라고 부른다.- 동결견이라는 방사선 소견은 정상이나 견관절에 동통성 운동 제한을 보이는 환자에게 처음 사용한다.- 이러한 상태가 관절조영술상 어깨관절의 전체 용적 감소를 나타내는 관절낭 유착에 기인한다 하여 “유착성관절낭염”이라 명명. – Frozens Shoulder(동결어깨) = Adhesive capsulitis(유착성관절낭염) 오십견의 특징
비슷한 증상
#The Subscapularis syndrome-An overlooked cause of primary FS-날개 아래 근막의 문제 초기에는 환자는 손을 앞에 늘릴 수 있지만 뒤에 손을 뻗어 어깨 높이까지 올릴 수 없으며 마치 공을 던지기 시작했을 때의 자세처럼. TrP가 지나치게 활성화되면 어깨의 외전은 45도 정도만 가능하다. 환자는 움직일 때 쉬고 있을 때, 모두 통증을 호소한다. 손을 반대쪽 어깨에 올리는 것이 불가능하다.날개 아래통은 팔 중 회전과 내전 동작을 만든다. 그리고 Glenoid fossa에 head of humerus가 붙어 있게 한다.-팔의 외전의 사이 삼각통은 손목 뼈의 고개를 위로 잡는 경향이 있어 glenoid fossa에서 빠지게 하고 acromion에 대항한다. 이에 대항하는 근육이 Subscapularis이다. -날개 아래통의 구축은 외근으로 주위를 제한한다. #특발성 오십견은 일방적으로 견갑거근(Subscapularis)TrP의 활성과 함께 시작된다. 이러한 어깨의 외전 제한은 대흉근, 소흉근, 광배근, 세마리통의 TrP발전을 자극한다. #Subscapularis TrP의 Refferred pain은 뒤 어깨 부위로 나타난다.#길항근의 과부하와 운동 범위의 제한을 일으키는 다른 근육에 확산될 수 있다. 결국 모두 어깨 근육이 관련될 가능성이 있다. 사용된 이름에 관계 없이 일방적인 조건에 대한 근육의 중요한 기여는 동일하게 유지된다. 결빙기(freezing)
견관절 동통의 발생이 특징이며, 특별한 외상이 없이 견관절에서 상지 전체로 방사되는 동통이 발생하며 야간 동통이 심하고 활동량에 비례하여 동통이 증가한다. 징후가 진행됨에 따라 특별히 편안한 자세가 없어지고, 대부분의 환자는 견관절의 내전 및 내전 위치를 하고 있다. 이 위치는 염증이 있는 견관절 활막, 상완 이두근, 회전근개에 긴장이 풀린 상태의 중간 등장성 위치다. 동결기(frozen)
휴식 시 통증은 보통 감소하고 어깨 관절에서 모든 방향의 운동 제한이 남게 된다. 일상생활이 매우 엄격하게 제한되면서 환자는 뒷주머니에 손을 넣거나 머리를 묶거나 머리를 빗거나 반대편 어깨를 감을 수 없다고 호소한다. 이런 활동을 할 때 매우 심한 불편감이 긴장된 관절낭 제한으로 발생한다. 야간통은 매우 많고 약물이나 물리치료 등으로 쉽게 조절되지 않는다. 약 3~18개월간 지속된다. 해빙기(thawing)
이 시기에는 운동범위가 서서히 회복되고 물리치료, 도수조작, 외곽해리술 등의 집중치료로 회복을 가속시킬 수 있는 매일 롬운동을 실시함으로써 동결기에서 해빙기로 전환할 수 있다. Etiology & Pathophysiology-rotator cuff contracture, biceps tenosynovitis, subscapularis trigger point, autoimmune response&autonomic reflex dysfunction[회전통의 구축 두마리통 건초염, 날개 아래통의 통증 유발점, 자가 면역 반응 및 자율 반사 기능 장애]-Cytokines와 다른 성장 인자는 염증 과정의 부분에서 tissue회복과 리모델링을 자극한다. -상승한 Cytokine값은 1차 및 일부 2차 frozenshoulder에서 지속적인 염증 및 섬유증의 세포 메커니즘에 주로 관여한다. – 작은 상처가 Type1및 Type3의 collagen을 방출하는 섬유 모세포의 지나친 축적과 증식을 유도하는 염증 치료 반응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고 가정했다. -섬유 아세포는 근 섬유 아세포와 구별되어, 새롭게 누운 Type 3 collagen의 수축을 일으킨다.(섬유 아세포는 새로 축적된 type 3 collagen의 수축이 원인이 되는 근 섬유 아세포와 구별된다.)-오십견 환자는 만성 염증 세포와 fibroblast cells을 가지고 있으며, 염증 과정과 섬유화가 모두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