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의 고생, 비용 증가, 완치율도 떨어진다.갑상샘암도 진행, 크게 키워 치료하면

헬스조선명의 톡톡 명의 인터뷰 갑상선암 명의 일산차병원 갑상선암센터 박정수 센터장

일산차병원 갑상샘암센터 박정수 센터장/신지호 헬스조선기자가 갑상샘암만큼 논란이 많은 병도 없다. 1990년대 후반부터 발생률이 크게 증가하자 일부 의사들이 발생률 증가가 과잉 진단 때문이라는 문제를 제기했다. 마침내 2014년 정부 권고안에서는 혹을 만지는 등의 증상이 없으면 초음파를 이용한 갑상샘암 선별검사는 일상적으로 권고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런 논란 이후 갑상샘암 진단은 줄고 발생률은 감소하고 있다. 보건복지부의발생률추이에따르면남성은99-2011년변화율이25%증가하였으나2011-2017년에는6.3%로감소하였다. 여성도 1999-2011년 22.1% 증가했으나 2011-2017년에는 -11.9%로 감소했다. 갑상샘암 수술에서 세계적 권위자로 꼽히는 일산차병원 갑상샘암센터 박정수 교수는 통계로 과잉진단 프레임을 만들어 막상 수술을 받아야 할 사람이 방치하는 경우가 있어 안타깝다. 박정수 교수에게 갑상샘암 진단과 수술에 대해 물었다.한국에 갑상샘암 환자가 유독 많은 이유는 2000년대 초반부터 건강검진이 활성화됐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초음파 검진 비용이 저렴해 너도나도 갑상선 초음파를 받아 발견이 많아졌다. 초음파의 해상도도 좋아져 1cm 미만의 암 발견이 많아졌다.△갑상샘암 과잉진단 논란 왜 생겼나△갑상샘암이 급증했기 때문이다. 갑상샘암은 수술을 하지 않아도 5년 생존율이 큰 변화가 없다는 것이 논란의 시발점이 됐지만 갑상샘암은 위암 폐암 대장암과 같이 생각해서는 안 된다. 전혀 다른 암이다. 갑상샘암은 환자의 대다수가 5년이 지나도 살아 있고 10년이 지나도 대부분 살아 있다. 암은 5년 생존율을 보지만 갑상샘암은 수술을 하지 않아도 5년까지는 대부분 생존하기 때문에 5년 생존율보다는 그 이상 기간의 생존율을 계산해야 한다. 갑상샘암 5년 생존율은 20132017년 100.1%에 이른다. 통계로만 보면 갑상샘암 환자가 일반인보다 오래 사는 셈이다. 이런 통계 때문에 오래 살려면 갑상샘암에 걸려야 하느냐는 우스갯소리도 나온다. 갑상샘은 5년을 보는 것이 아니라 평생을 봐야 한다. 미국에서 나온 유명한 통계에 따르면 갑상샘암 환자를 30년간 추적했을 때 30%가 재발한다고 한다. 재발한 환자의 15%는 사망했다.갑상샘암을 빨리 진단할 필요가 없는지 틀린 얘기다. 갑상샘암도 암이다. 어떤 암이라도 조기에 치료해야 환자의 고생이 적고 치료비용도 적으며 완치율도 높다. 갑상샘암이 혹을 만지는 등 증상이 나타나면 초음파검사를 하라는 권고는 병을 키워 치료하라는 말과 같다. 한국이 다른 나라에 비해 갑상샘암 생존율이 높은 반면 갑상샘암 생존율이 높은 이유는 빨리 진단해 치료를 했기 때문이다. 영국은 갑상샘암 5년 생존율(19961999년)이 남성 74.2%, 여성 73.5%이다. 갑상선 초음파 등 건강진단이 활발한 한국의 5년 생존율을 보면 19931995년을 기준으로 94.2%, 19962000년 94.9%, 20012005년 98.3%, 20082012년 100.1%로 훨씬 높다. 실제로 내 환자 가운데 수술이 어려울 정도로 암이 확산되는 경우가 있다. 환자에게 왜 이렇게 늦게 왔느냐고 묻자 주위에서 갑상샘암이 별거 아니라는데 갑상샘암으로 죽지 않는다는데라는 말을 듣고 방치하다 뒤늦게 왔다고 한다. 갑상샘암은 진단할 필요도, 수술할 필요도 없다는 말은 너무 극단적이다.갑상샘암이 치료 예후가 좋은 건 사실 아닌가. 치료 성적이 좋은 게 틀림없어. 갑상샘암은 치료를 하지 않아도 1020년을 살고 재발해도 장수하는 환자가 있다. 그러나 모든 환자가 그런 것은 아니다. 필자가 있던 강남세브란스병원에는 난치성 갑상샘암연구소가 있었는데 환자가 뒤늦게 와 걷잡을 수 없이 암이 퍼진 사례가 많았다. 난치성 갑상샘암으로 고통받다 사망하는 환자를 보면 갑상샘암을 단순히 통계만으로 개별 환자에게만 적용해서는 안 된다.▲갑상샘암의 증상은 무엇인가=갑상샘암은 95%가 증상이 없다. 다만 갑상샘암이 목소리의 신경을 침범하면 목소리가 변하고 기도를 침범하면 기침이 나고 피가 나는 증상도 있다. 암이 식도를 침범하면 음식을 삼키는 데 걸리는 느낌이 들 수도 있다. 이런 증상이 나타난다면 이미 때는 늦었다. 기도에 암이 침범되면 수술할 때 기도를 잘라야 한다. 성대대신경이나 식도도 마찬가지다. 삶의 질은 떨어지고 완치율도 떨어진다 증상이 없을 때 빨리 발견하여 치료해야 한다△갑상샘암 진단은 어떻게 하나△1년에 한 번 건강검진을 받을 때 하면 된다. 갑상샘암은 혹을 만지는 등의 증상이 있을 때만 진단을 하라고 하지만 갑상샘암 환자 95% 이상은 증상이 없다. 대부분 건강검진에서 우연히 발견된다. 갑상샘암 진단은 초음파검사가 기본이며 초음파상에서 암이 의심되면 목에 침을 꽂아 세침을 떼어내는 세침검사를 한다. 55세 이후 발생하는 갑상샘암은 재발률이 높고 생존율이 낮기 때문에 55세 이상이면 갑상샘 초음파를 정기적으로 받아야 한다. 수술 여부는 나중에 결정하더라도 진단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갑상샘암 중 빠른 치료가 필요한 예후가 나쁜 종류의 암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세침검사에 대한 부담이 크다=갑상샘암의 크기가 5mm 이하면 세침검사를 하지 않아도 되지만 크기가 커지면 된다는 게 현재의 가이드라인이다. 그러나 암의 크기가 5mm 이하라도 식도나 기도, 성대신경 근처에 있거나 암이 갑상샘피막을 뚫었을 때는 세침검사를 하고 암이라면 수술을 해야 한다.암으로 진단되면 즉시 수술해야 하는데 그렇지 않다. 갑상샘암의 95%를 차지하는 유두암의 경우 늦게 자라는 거북암이다. 암의 크기가 1㎝ 미만이면 6~12개월 간격으로 검사만 하고 암이 커지면 수술을 해도 된다. 하지만 예외가 있다. 암의 위치가 기도 식도 성대신경 근처에 있거나, ▲피막을 통과했거나, ▲림프절 전이▲다른 장기로의 원격 전이가 ▲나쁜 세포(키 큰 세포, 말굽 세포, 원주 세포, 저분화, 미분화, 수질암)가 발견되면 즉시 수술을 해야 한다.갑상샘의 절반만 절제하는 반절제술이 가능할 때는 전 세계의 치료 지침이 될 미국 갑상샘학회는 과거 암의 크기가 1cm 미만이면 암이 있는 부위, 즉 갑상샘의 절반만 절제하라고 권고했다. 암의 크기가 1cm 이상이면 무조건 전절제술을 하라고 했다. 전 절제술은 과잉이라는 측면이 있었다. 환자의 80% 이상이 1cm 이상의 갑상샘암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수술이 너무 많아 의료재정 낭비가 심하다는 지적에 따라 2015년 미국 갑상샘학회는 가이드라인을 개정했다. 암 크기는 4cm까지 반절제할 수 있다고 밝혔다. 14cm인 경우 선택적으로 수술할 것. 4cm 미만이라도 수술해야 하는 예외적인 경우는 ▲나비 모양의 갑상선에 암이 양쪽에 있는 경우 ▲2mm 이상의 림프절 전이가 5개 이상인 경우 ▲5mm 이상의 림프절 전이가 1개 이상인 경우 ▲암세포가 피막을 관통하는 경우 ▲나쁜 세포(키 큰 세포, 원인에 의해 암) 그 미만이 있고 그 미만은 암세포, 그 미만은 암세포, 그 미만은 암세포를 관통하는 경우 ▲나쁜 기둥.

갑상샘암이 전이된 환자의 MRI 사진/신지호헬스조선 기자-갑상선 반절제술을 하면 호르몬제를 안 먹어도 되는지, 갑상샘 반절제술을 하면 갑상샘 호르몬제(신지로이드)를 안 먹어도 생각하는 사람이 많지만 그렇지 않다. 갑상샘이 절반 남았다고 해도 갑상샘호르몬 분비가 충분하지 않으면 이를 보충하기 위해 갑상샘호르몬제를 복용해야 한다. 약을 먹지 않고 체내 갑상샘 호르몬이 충분히 없으면 뇌하수체 갑상샘 자극 호르몬(TSH)이 계속 분비되는데 이 호르몬은 암세포를 자극해 암이 재발할 수 있다. 현재, 반절제술을 한 반의 환자가 약을 먹고 있다고 추정하고 있다.갑상샘암 수술 때 흉터를 걱정하는 사람이 많다.목 한가운데를 절개하지 않고 옆으로 2.5-3cm로 작게 절개하여 허리띠 근육과 흉쇄 유돌근 사이의 공간으로 들어가 갑상선을 떼어낼 수 있다. 수술절개가 작아 수술시간이 짧고 수술 후 통증도 경미하다. 수술 흉터는 레이저 등으로 최소화할 수 있다. 로봇수술은 환자 선택 문제지만 외과 의사로서 개인적인 시각은 적군은 최단거리에서 눈으로 보고 섬멸해야 한다고 본다.△갑상선 양성종양은 언제 수술을 해야 하나△양성종양이라도 4cm 이상 있으면 수술을 해야 한다. 4센치 이상의 양성 종양을 조직 검사하면, 20-30%에서 암세포가 발견된다. 그리고 양성종양 때문에 음식을 삼킬 때 걸리는 느낌이 드는 등 증상이 나타나면 수술을 고려해야 한다. 양성종양인지 암인지 애매모호한 경우도 수술을 고려해야 한다.갑상샘암 중에도 암이 있을 텐데. 미분화암이다. 미분화암은 어느 날 갑자기 크게 성장한다. 그리고 시간이 지날수록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해 암세포의 성질이 변한다. 비교적 착한 암세포에서 독의 암세포로 바뀌는 것이다. 미분화암은 현대의학으로는 해결되지 않았다. 전체 갑상샘암의 1% 미만이 미분화암으로 많지는 않지만 걸리면 대부분 사망한다고 봐야 한다. 미분화암은 1cm 미만이라도 수술이 가능하다면 한다. 크기가 크면 수술 전 항암치료를 통해 크기를 줄여 수술을 한다.△수술 후의 방사성 요오드 치료는 모든 환자가 해야 하지만, 갑상선암의 전절제를 실시하는 사람이 대상이다. 그러나 전체 절제한 사람 중에서도 저위험군 암을 가진 5%는 방사성 요오드 치료를 하지 않아도 된다. 갑상샘암 저위험군은 ▲2mm 림프절 전이 5개 미만 ▲갑상샘암 완전절제술 ▲피막 침범이 없고 ▲혈관 침범이 없는 경우이다.-수술 후 재발검사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처음에는 36개월마다 하고 이후부터는 1년마다 한다. 5년 이후에는 2년마다 검사를 해야 한다. 기본 검사는 호르몬 검사와 초음파 검사를 하는 것이다.갑상샘암은 왜 생기나=모든 암이 그렇듯 명확히 밝혀진 적은 없다. 그러나 방사선은 갑상샘암의 가장 많이 밝혀진 원인이다. 방사선에 피폭되면 갑상선 세포가 망가진다. 체르노빌 원전사고 이후 5년이 지나면서 어린 아이들에게도 갑상샘암이 발생했다. 방사선 피폭을 줄이기 위해 CT나 애완동물 CT를 찍어서는 안 된다. 미역이나 다시마 같은 요오드를 과식하는 것도 갑상샘암의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 요오드를 섭취하면 갑상선에 요오드가 모이지만, 너무 많으면 갑상선염이 생긴다. 갑상선염은 갑상선 기능 저하를 초래하고 뇌하수체에서 갑상선 자극 호르몬 분비를 증가시킨다. 이 호르몬 때문에 갑상샘세포가 자극받아 갑상샘암이 발생할 수 있다. 갑상선암은 가족력도 있다. 자신이 암에 걸리면 딸이 갑상샘암에 걸릴 위험이 34배가 된다.

일산차병원 갑상샘암센터 박정수 센터장/신지호 헬스조선기자 박정수 교수는 연세대 의대를 졸업하고 연세대 의대 외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연세대 외과학교실 주임교수, 신촌세브란스병원 갑상샘암전문클리닉팀장, 강남세브란스병원 특임교수 등을 역임했다.박정수 교수는 국내 최초로 갑상샘암 진단과 치료 분야를 상세하게 전문화한 장본인이다. 갑상샘암 환자에게 최신 최첨단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1980년대 미국과 일본으로 연수를 떠났다. 한국으로 돌아와 대한갑상선내분비외과학회를 창립해 이 분야를 학문적으로 발전시켰다.갑상샘암 치료 분야에서 국내를 넘어 세계적인 권위자로 인정받고 있다. 우선 임상 부문에서 갑상선암 환자 조기 진단 수술, 갑상선암 최소 침습 수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였다. 현재까지 세계 최다인 2만1000례 이상의 갑상샘암 수술을 시행했으며 갑상샘암 수술 후 20년 생존율 95%, 수술합병증 0.3%라는 임상성과를 보유하고 있다.국내외에서 각각 16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는 등 왕성한 학술 활동도 펼쳐왔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대한외과학회 이사장, 아시아내분비외과학회 회장, 대한두경부종양학회 회장, 대한내분비외과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2014년에는 세계두경부외과학회 두경부외과 창립 100주년 기념 100대 인물에 선정되는 등 학술 활동에서도 큰 성과를 거두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4/03/2020040303390.html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