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출혈의 원인, 초기 증상, 검사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합시다.초기 증상으로는 두통, 현기증, 구토, 의식 소실, 뇌출혈은 출혈 부위에 따라 피각 출혈, 시상 출혈, 뇌간 출혈, 소뇌 출혈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그리고 뇌출혈로 인한 마비성 복시, 사시 환자의 치료 전후 사진도 함께 소개해 드립니다.
▲ 뇌출혈의 분류 = 뇌출혈 경막하 출혈, 지주막하 출혈, 뇌출혈은 출혈이 일어나는 부위에 따라 위 표에 따라 분류되며, 경막과 지주막은 뇌를 감싸는 특정 층막입니다.
뇌수막(경질막, 지주막, 연수막)과 뇌실질뇌는 두개골에 부착되어 있는 경막, 그 안쪽에 표면장력으로 부착되어 있는 지주막, 그리고 뇌실질을 덮는 연질막으로 덮여 있습니다.경막하(경질막~운막)에 출혈했을 경우를 경막하 출혈, 지주막하(운막~연질막)에서 출혈한 경우를 지주막하 출혈, 연질막하의 뇌실질에서 출혈한 경우는 뇌내 출혈이라고 합니다.이번 포스팅은 뇌출혈에 대한 내용입니다.
뇌내출혈의 원인, 부위, 증상1) 뇌내출혈의 원인
뇌출혈의 기저질환으로 고혈압이 가장 중요합니다.높은 압력이 혈관벽에 계속 걸리면 뇌 내의 세동맥 혈관이 괴사하여 미세동맥류가 되고, 이것이 파열되어 뇌출혈을 일으킵니다.그 외에도 머리외상, 출혈성질환(혈우병, 백혈병, 혈소판감소증 등), 뇌종양이 원인이 됩니다.
2) 뇌내출혈 부위 빈도 뇌내출혈 부위 출혈(동맥) 위치 50% 피각(기저핵) 출혈 중대뇌동맥 선조체 분지 30% 시상출혈 중대뇌동맥 선조체 분지 10% 교뇌(뇌간) 출혈 뇌기저동맥 교뇌분지 10% 소뇌출혈 소뇌동맥 피질 분지 10% 소뇌혈
피각(기저핵의 일부)과 시상
뇌간(중뇌, 교뇌, 연수)과 소뇌에서 출혈이 잘 발생하는 부위는 미세동맥류가 생기기 쉬운 부위로 주로 관통동맥이 있는 부위입니다.고혈압성 뇌출혈의 빈도에 대응하는 관통 동맥의 위치는 위 표, 그림과 같습니다.
3) 뇌출혈의 증상, 검사 뇌출혈에서는 출혈 혈액이 굳어져 생긴 혈종이 뇌실질을 직접 파괴합니다.그리고 뇌 부종이나 순환 장애에 의한 2차적인 뇌 손상이 계속되고 있습니다.미세 동맥류는 한 군데 파괴된 것만으로도 넓은 범위에서 장애를 받기 때문에 뇌경색과 같이 국소적으로 증상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뇌출혈의 뇌 CT 이미지
뇌출혈의 뇌 MRI 영상 뇌출혈은 뇌 CT, 뇌 MRI 검사를 통해 부위나 출혈량 등을 조사할 수 있습니다.뇌출혈의 초기 증상은 두통, 현기증, 메스꺼움, 구토이지만, 식체 증상과 유사하여 구별이 어려운 경우도 있으며 심한 경우 의식 소실, 간질 발작을 동반합니다.
피각출혈의식의 소실, 심한 반신마비, 안구편위 등 시상출혈 점진적 반신부전마비, 감각장애, 눈증상불등교성출혈두통, 의식저하, 운동실조, 안면마비, 복시 등의 소뇌출혈 운동실조, 두통, 구역질, 구토, 평형장애 등 피질하출혈 위치, 정도에 따라 상이한 출혈 부위에 의한 증상은 대체로 위카메라가 있습니다.뇌출혈로 인해 의식 장애, 구토를 동반한 경우에는 응급 처치가 필요합니다.
경희미의원에 내원한 마비성 복시, 사시 환자 중 3번 뇌신경마비를 동반한 뇌간출혈 환자들의 치료 전후 사진, 동영상을 소개합니다.
뇌간출혈 복시 치료 전후 사진 66세 남성, 고혈압 당뇨의 현 병력 MRI상 뇌간출혈, 우안 3번 뇌신경 마비, 내전장애 15주 치료기간(한약 복용)
환자의 MRI 영상
우안 내전 장애
경희대한방병원 출신 조재훈 한의학 박사의 진료 치료 전후 사진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