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목터널증후군 수술 의료진의 수술 기술이 중요한 이유

힘든 운동이나 업무를 하지 않아도 갑자기 손목이 욱신욱신한 경험 누구나 한 번쯤은 있을 겁니다. 또 한밤중에 손가락이 저려서 잠에서 깬 적도 있을 텐데 만약 두 가지 증상을 같이 경험했다면 손목터널증후군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현대인의 90% 이상이 경험하고 방치할 경우 감각저하와 근력저하로 손목터널증후군 수술이 필요한 상황. 그래서 오늘은 손목터널증후군의 원인과 증상 그리고 치료법 등에 대해서 아래 본문에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손목터널증후군은 손목 아래쪽 터널이 압박되는 질환이다.

손목에는 뼈와 인대로 이루어진 터널(수근관)이 존재하며, 이곳을 지나 9개의 힘줄과 1개의 정중신경이 지나갑니다. 손목터널증후군은 여러 원인에 의해 터널이 눌려 압박되어 정중신경이 영향을 미치는 손가락 부위(엄지, 검지, 중지, 약지의 절반)에서 통증이나 저림, 감각 저하 등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손 저림이 있어도 혈액순환 문제로 오인해 치료 시기가 늦어지는 경우가 많고, 목 디스크 증상의 하나로 손 저림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즉 비슷한 증상을 호소하는 여러 질환과 감별을 해야 하기 때문에 전문의의 진단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현대 사회에서 손목터널증후군은 누구에게나 발생하는 질환이다.

손목터널증후군의 대표적인 원인은 과도한 손목과 손가락 사용입니다. 그래서 과거에는 미용사나 요리사, 목수, 악기 연주자, 주부 등 직업적 특성에 따라 발병률이 구분됐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전자기기 사용량 증가로 손목을 무리하게 사용하면서 나이와 성별을 불문하고 발병률이 높아지는 추세입니다. 그 밖에 반복적인 운동이나 외상도 원인으로 들 수 있습니다.

즉 손목터널증후군은 생활환경이 영향을 주는 질환이므로 손목이나 손가락 통증이나 저림이 있다면 자신의 생활패턴을 점검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정중신경이 영향을 미치는 손가락 부위에 증상이 나타난다.

손목터널증후군 정중신경이 영향을 주는 엄지와 검지, 중지, 약지의 절반에 통증과 저림 증상이 나타납니다. 손가락 끝이 저리거나 따끔따끔하거나 특히 밤에 증상이 악화되어 충분한 숙면을 취하지 못합니다. 만약 증상을 장기간 방치하게 되면 근육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이 경우 손가락이 뜨거워지고 근력이 약해져 물건을 쉽게 떨어뜨리게 됩니다.

양쪽 손목을 90도 정도 구부렸다가 1분 정도 기다렸을 때 만약 이 자세에서 통증과 저림이 있다면 손목터널증후군을 의심해야 합니다. 신경 누르기가 어느 정도인지 확인할 수 있는 자가진단법으로 적극적으로 병원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저림과 근육 위축이 심하다면 손목터널증후군 수술을 고려해야 한다.

통증이나 저림 증상이 비교적 가볍고 근육 위축이 없으면 보존적 치료가 가능합니다. 약물치료와 주사치료, 물리치료 등으로 염증을 완화하고 비대해진 신경압박을 풀어 터널 공간을 넓히도록 합니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보조기나 부목을 고정해 손목이나 손가락 사용을 최소한으로 억제합니다.

그러나 통증과 저림의 감각 이상이 장기간 지속되거나 근육 위축을 동반할 경우 손목터널증후군 수술이 필요합니다. 수술은 손목 부위를 최소 절개한 후 관절경이나 특수 기구를 이용해 정중신경을 압박하는 인대를 잘라내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수술 시간이 매우 짧아 수술 당일부터 통증 민감도를 낮춰 예후가 좋은 수술 중 하나로 꼽힙니다.

손목질환은 수부에 대해 전문성이 높은 의료진의 역할이 중요하다.

손목 터널 증후군은 자주 발생하지만 흔한 질병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치료 시기를 놓치면 예후에도 많은 영향을 미쳐 손목터널증후군 수술을 피할 수 없으니 적극적인 진단과 대처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 10 연세사랑병원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 10 연세사랑병원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