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혜부 탈장의 발생 위치, 증상을 알아봅시다.

서혜부 탈장은 대퇴부, 배꼽, 스포츠 탈장, 상복부 등 여러 탈장의 종류 중 70% 이상을 차지하는 일반적인 탈장 유형이라고 합니다. 복부, 허벅지 사이의 사타구니에 자주 발생합니다. 탈장은 복압이 높아질 때 발생합니다. 운동을 하면서 과도한 복근 운동, 몸을 비꼬는 행동 등으로 복부 근막이 손상될 수도 있습니다. 손상된 힘줄의 맏형을 통해 복벽을 뚫고 장기가 빠져나갑니다. 여성보다는 남성이 구조상 특정 부위의 복벽이 약해 남성에게 잘 일어난다고 합니다. 사타구니 부위에 볼록한 혹이 생겨 피부 속에 부드러운 덩어리가 만져지고 초기에는 덩어리를 누르거나 누우면 들어가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들어가기 어렵고 크기가 점점 커져 발견했을 때 방치하지 말고 바로 치료를 하는 것이 좋은 방법입니다. 돌출된 장이 복벽 구멍에 끼여 괴사할 수 있으므로 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소아 서혜부 탈장의 대부분이 오른쪽에 발생하고 미숙아일수록 발생률이 높다고 합니다. 소아에서 어느 연령대에나 발생할 수 있지만, 3분의 1은 생후 6개월 이내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태아 시기의 고환이나 난소가 하복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서혜부의 통로가 막히지 않아 출생 후 탈장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임신 12주-14주에 고환이나 난소가 신장 근처의 복강 내 형성되어 태아가 성장하여 고환, 난소, 하복부 쪽으로 내려오는데 그 통로가 서경관이라고 합니다. 고환이 서경관을 타고 내려가면서 음낭, 난소 자궁인대가 서경관을 따라 하강하고 이러한 과정을 거쳐 서혜부의 길이 막혀야 하는데 통로가 막히지 않아 열려 있는 상태가 되고 복강 내 장기가 빠져나가 탈장, 체액이 쌓여 음낭수종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수술은 길을 막는 방법으로 복강경 수술 오일이 이어지고 직경 2.7mm의 3개의 복강경 기구를 복강 내에 투입해 결손 부위를 복합하는 수술로 흉터가 남지 않습니다.

성인의 서혜부 탈장 후천적인 영향으로 복벽이 약해지고 있는데 복압이 높아지면서 복벽 일부가 늘어나고 그 틈으로 장기가 빠져나옵니다. 주로 50대 이상이 자주 발생하고 나이가 들면서 근육이 약해지고 복압이 과도하게 높아져 만성 기침, 무거운 물건을 들 때, 고강도 운동을 할 때, 변비로 힘을 많이 줄 때 주로 발생한다고 합니다. 소아와 달리 인공막이 사용되는데요. 복강경 장치를 이용하여 인공막에 복벽 틈을 메운다고 합니다.

예방법의 탈장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본인의 신체 상태를 고려하여 과도한 운동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고강도 운동을 반복하다 보면 복압이 올라가 탈장이 나타나거나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갑작스러운 복압을 높이는 행동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성 변비, 천식을 앓고 있다면 미리 치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 소변을 볼 때 지나치게 배에 힘을 주어 기침을 쉽게 하고 배에 힘이 들어가 위험이 높다고 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