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가 아프면 가장 생각나는 질환은 무엇인가요?
아무래도 중장년층이나 어른한테 물었을 때 대표적으로 ‘오십견’을 떠올릴 텐데요.
50세 이후에 발병률이 높기 때문에 오십견이라는 별명이 붙은 이 질환
최근에는 50대가 아닌 젊은 층에서도 그 질환으로 찾아오는 분들이 늘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젊은 나이에 나타나는 이 질환에 대해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50대에 발생한다고 해서 그런 명칭이 붙었다고 하는데 정확한 명칭은 ‘동결견, 유착성 관절낭염’이 정확한 의학 용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십견은 어깨 관절을 둘러싼 얇은 막에 염증이 발생하고 통증과 함께 팔의 움직임 제한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지속적인 어깨 통증, 운동 제한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초반에는 적지만 서서히 움직일 수 있는 범위가 줄어들 수 있어 치료를 통해 개선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십견을 유발하는 원인은 특발성/이차성으로 나뉘는데 현재는 어떻게 발생하는지 자세한 원인을 알 수 없습니다.
하지만 당뇨병, 갑상선 질환 등 다른 질환을 앓고 있는 분들에게 2차성으로 나타나는 것이 확인되어 합병 증상으로 함께 나타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또한 운동 부족으로 인한 어깨 근력이 약해지고 스마트폰, 컴퓨터 작업으로 어깨가 피곤할 경우 사고, 외상으로 발생한 어깨 부상을 방치하다가 점차 심해져 발병하는 원인으로도 보고 있습니다.

오십견은 어깨에서 발생하는 증상 외에도 목, 팔에서도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팔과 목 통증을 호소하고 방문하셔서 검사 후 오십견 판정을 받고 놀라시는 분들도 계시는데요.
전체적인 어깨 관절 통증이 나타나지만 목이나 팔에서도 증상이 나타난다면 오십견 증상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또한 야간통증, 압통의 발생주기가 빠르고 강도가 상승하여 어깨를 움직일 수 있는 범위가 적어지는 증상이 보이면 꼭 검사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유착성 관절낭염이 발생하면 점차 어깨 관절이 딱딱해지기 때문에 단순히 휴식으로 넘어가서는 안 됩니다.
어깨가 굳는 것을 막기 위해 뼈, 관절, 근육과 같은 근골격계 질환을 손을 이용해 긴장을 풀고 통증을 감소시키는 도수치료로 견근막과 관절낭을 풀어 움직임 범위 회복을 유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통증이 심한 경우에는 매우 가능한 0.3mm 바늘을 이용한 어깨 부위에 신경전달물질을 투여하여 통증을 감소시키는 주사치료도 상황에 따라 적용할 수 있습니다.
적절한 스트레칭, 운동, 휴식, 치료를 적절히 병행하면 보다 빠른 일상에서 재발 방지 및 관리가 가능하므로 아플 경우 단순히 간과하지 말고 반드시 검사를 통해 치료를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본 포스팅은 대전 MJ통증의학과가 주체가 되어 작성된 내용으로 의료광고입니다.